맨위로가기

블라디미로 몬테시노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라디미로 몬테시노스는 페루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알베르토 후지모리 정권에서 국가정보국(SIN)의 실질적인 수장으로 활동했다. 그는 군 복무 중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관계를 맺고, 변호사 시절에는 마약 밀매 조직을 변호하며 악명을 얻었다. 후지모리 정권 하에서 언론 통제, 정치적 탄압, 마약 밀매 연루 의혹을 받았으며, 2000년 뇌물 수수 영상 공개로 몰락했다. 이후 횡령, 살인, 불법 무기 거래 등 다양한 혐의로 기소되어 수감되었으며, 현재까지 여러 건의 재판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루의 범죄인 - 알베르토 후지모리
    알베르토 후지모리는 일본계 페루인 정치인으로, 1990년부터 2000년까지 페루 대통령을 지내며 경제 개혁과 게릴라 척결에 기여했으나, 권위주의 통치와 인권 침해 등으로 논란이 되었고, 실각 후 도피 및 체포, 수감 생활을 거쳐 2024년 사망했다.
  • 페루의 군인 - 미겔 이글레시아스
    미겔 이글레시아스는 페루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태평양 전쟁에서 페루군을 지휘하고 안콘 조약에 서명했으며, 대통령을 선포했으나 내전으로 사임 후 망명, 귀환 후 상원의원을 지냈다.
  • 페루의 군인 - 루이스 카스타녜다 로시오
    루이스 카스타녜다 로시오는 페루의 정치인으로, 리마 시장을 세 차례 역임했으며 부패 혐의로 수사를 받다가 2022년에 사망했다.
블라디미로 몬테시노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블라디미로 몬테시노스
원어 이름Vladimiro Ilich Montesinos Torres
직책국가정보부 부장
출생일1945년 5월 20일
출생지페루 아레키파
국적페루
정당캄비오 90 (1990–2001)
신다수당 (1990–2001)
기타 정당페루 2000 (1999–2001)
미래를 위한 동맹 (2005–2010)
배우자트리니다드 베세라 (1973–2001, 이혼)
자녀실바나 몬테시노스 베세라
모교미국 육군 학교
초리요스 육군 사관학교
계급대위
로마자 표기bladiˈmiɾo ˈlenin iˈlitʃ mõn̪teˈsinos ˈtores
직책
직위국가정보부장
대통령알베르토 후지모리
임기 시작1990년 7월 28일
임기 종료2000년 9월 14일
후임직책 폐지
기타 정보
별명스파이마스터
권력알베르토 후지모리 대통령 정부에서 배후 실세로 여겨짐
미국 중앙정보국(CIA) 정보 판매 혐의페루 육군에서 추방
변호사 경력마약 밀매 혐의자 변호
참고자료
주요 활동1992년 쿠데타의 주요 인물 중 한 명
페루의 정보기관을 장악
군부 내 실세
알베르토 후지모리의 배후 권력

2. 초기 생애 및 교육

블라디미로 몬테시노스는 1945년 5월 20일 페루 남부 아레키파 주의 주도인 아레키파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그리스 출신의 독실한 공산주의자였으며, 아들에게 블라디미르 레닌의 이름을 따서 블라디미로(Vladimiro)라고 지었다. 그는 페루공산주의 무장 단체 빛나는 길의 지도자이자 투옥된 오스카르 라미레스 두란드의 사촌이기도 하다.

몬테시노스는 군인의 길을 걸었다. 1965년에는 파나마에 위치한 미국 육군 소속의 미주 안보협력학교에서 군사 사관생도 과정을 마쳤다. 이듬해인 1966년에는 페루 리마에 있는 초릴로스 군사학교를 졸업했다.

3. 군 경력

블라디미르 레닌의 이름에서 유래한 '블라디미로'라는 이름을 가진 그는 1945년 5월 20일, 그리스계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났다. 파나마에 위치한 미국군 사관학교를 졸업했다.

1970년대 초, 페루 육군 포병 대위로 임관했다. 당시 페루는 후안 벨라스코 알바라도 장군이 이끄는 좌익 성향의 페루 혁명군정 시기였다. 1973년, 몬테시노스는 총리 겸 군 최고사령관이었던 에드가르도 메르카도 하린 장군의 보좌관으로 발탁되었다. 그는 하린 장군과 함께 알제리, 콜롬비아, 쿠바, 프랑스, 스페인, 베네수엘라 등 여러 국가를 순방했다.

1975년 벨라스코 정권이 실각하고 프란시스코 모랄레스 베르무데스 장군이 이끄는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군사 정권이 들어섰음에도, 몬테시노스는 군 내에서 자신의 입지를 유지했다. 그는 새로운 정권 하에서도 총리 보좌관직을 수행하며 정부 각료들의 연설문을 작성하고 언론에 글을 기고하는 등 능력을 발휘했다.

그러나 1976년, 미국 CIA에 군사 기밀을 유출했다는 간첩 혐의로 기소되었다. 조사 과정에서 기밀 문서 유출, 허가 없는 미국 방문, 공문서 위조 등의 사실이 밝혀졌다. 결국 1977년 군에서 불명예 제대를 당하고 2년 형을 선고받아 투옥되었으나, 1년 만에 석방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CIA와의 관계 참조) 석방 후에는 변호사 자격을 취득하여 활동했다.

3. 1. CIA와의 관계

1973년, 후안 벨라스코 알바라도 장군의 좌익 군사 정권 하에서 페루 육군 포병 대위였던 몬테시노스는 총리 겸 군 최고 사령관 에드가르도 메르카도 하린 장군의 보좌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하린 장군과 함께 알제리, 콜롬비아, 쿠바, 프랑스, 스페인, 베네수엘라 등 여러 국가를 방문했으며, 쿠바에서는 라울 카스트로의 개인 초청을 받기도 했다. 그는 허가 없이 페루 육군 대표 자격으로 외국 기관을 방문하기도 했다. 1975년 벨라스코 정권이 무너지고 프란시스코 모랄레스 베르무데스 장군의 보수 정권이 들어섰을 때도 군 내 지위를 유지했으며, 새로운 총리들의 보좌관으로도 활동했다.

국제 방문객 리더십 프로그램 몬테시노스 추천서, 미국 리마 대사관 발송


1974년, 예일대학교의 정치학자 알프레드 스테판은 미국 리마 대사관에 몬테시노스를 "국가 안보 교리에 있어 가장 이론적으로 정교한 젊은 군 장교"이자 "상당한 리더십 잠재력"을 가진 인물로 평가하며 국제 방문객 리더십 프로그램 지원 대상자로 추천했다. 몬테시노스는 추천 과정에서 CIA제럴드 포드 행정부의 미국 국가안보회의 관계자들과 군사 및 경제 관계를 논의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는 월트 디즈니 월드 같은 관광지 방문에는 시간을 낭비하고 싶지 않다고 미국 측에 명확히 전달했다. 이를 계기로 미국 국무부와 CIA는 몬테시노스와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

1976년 9월 5일부터 21일까지 몬테시노스는 미국 정부의 지원으로 워싱턴 D.C.를 방문하여 다수의 미국 관계자들과 만났다. CIA의 로버트 호킨스, 국무부 라틴 아메리카 담당 루이지 R. 에이나우디, 학계의 알프레드 스테판, 앨버트 피시로우, 리어던 로엣, 에이브러햄 로웬탈 등이 그와 만난 것으로 기록되었다. 당시 미국이 외국인에게 제공하는 이러한 종류의 방문은 드물었으며, 미국의 이익에 부합하는 핵심 인물에게만 허용되었다.

그러나 리마로 돌아온 몬테시노스는 정부의 공식 허가 없이 미국을 방문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었다. 1977년, 육군 정보부(Servicio de Inteligencia del Ejército|SIEes)의 호세 페르난데스 살바테치 소령은 몬테시노스가 리마 주재 미국 대사관에 페루가 소련으로부터 구매한 무기 목록 등 군사 기밀 문서를 넘겼다며 간첩 및 반역 혐의로 기소했다. 조사 결과 그의 소지품에서 최고 기밀 문서가 발견되었고, 문서를 촬영하여 CIA에 제공한 사실이 드러났다. 또한 그는 군 사령부 승인 없이 미국을 방문했으며, 이를 위해 군 관련 문서를 위조한 사실도 밝혀졌다.

몬테시노스는 군에서 불명예 제대 당하고 푸에블로 리브레의 볼리바르 막사 군사 교도소에서 2년형을 선고받았다. 이는 당시 군사 정권 하에서 반역죄에 통상적으로 내려지던 사형에 비하면 매우 가벼운 처벌이었다. 미국 주재 페루 대사 로버트 윌리엄 딘은 페루 외무장관 호세 드 라 푸엔테 라드빌과 접촉하여 몬테시노스의 석방을 압박했으며, 몬테시노스의 변호사에게 에이나우디와 연락하도록 주선했다. 결국 과거 몬테시노스의 상관이었던 메르카도 장군이 기소 취하를 명령했다.

수년 후 기밀 해제된 미국 국무부 문서를 통해 CIA가 몬테시노스에게 관심을 가졌던 이유가 드러났다. 1970년대 페루는 우익 군사 정부가 지배하던 남미에서 드문 좌익 정권 중 하나였다. 냉전 시기 미국은 소련과 쿠바의 영향력 확대를 경계하며 페루 내 동향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했다. 몬테시노스는 미국의 동맹이었던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정권의 칠레에 대한 페루의 잠재적 공격 계획과 같은 정보를 미국 측에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4. 변호사 경력

1977년 스파이 혐의 등으로 투옥되었으나 1년 만인 1978년 2월 석방되었다. 석방 후, 그는 변호사인 사촌 세르히오 카르데날 몬테시노스의 도움을 받아 법학 학위를 취득하기로 결심했다.

같은 해 4월, 몬테시노스는 리마에 있는 산 마르코스 국립대학교에 입학 원서를 제출했지만, 불과 석 달 만에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법학 학위를 취득했다는 의혹이 있다. 그의 졸업 기록이 담긴 대학 기록 보관소의 해당 장부가 사라졌으며, 졸업 논문을 포함한 학력 관련 자료는 공개된 적이 없다.

이렇게 얻은 학위를 이용하여 1978년 8월 15일 리마 고등법원에 변호사로 등록했고, 열흘 뒤인 8월 25일에는 리마 변호사 협회의 회원이 되었다. 변호사로서 그는 콜롬비아와 페루의 여러 마약 밀매 조직원들과 마약 밀매에 연루된 혐의를 받는 경찰관들을 변호하면서 악명을 얻기 시작했다. 1978년부터 1979년까지는 콜롬비아 마약 두목 에바리스토 "파파 독" 포라스 아르딜라와 하이메 타마요를 변호했으며, 코카인 제조에 사용된 여러 사무실과 창고 임대 계약에 대해 타마요의 보증인 역할을 하기도 했다.

5. 후지모리 정권

변호사 시절 알베르토 후지모리의 부인 수사나 이구치의 변호를 맡으며 후지모리와 인연을 맺었다. 몬테시노스는 파블로 에스코바르에게 받은 자금으로 1990년 페루 대통령 선거에서 후지모리의 선거 운동을 지원했다는 의혹이 있으며, 후지모리의 세금 서류와 출생 증명서를 위조했다는 증거도 제기되었다. 또한, 페루 군부가 비밀리에 구상한 플랜 베르데 작전을 후지모리와 함께 실행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육군 정보 및 위협 분석 센터(National Ground Intelligence Center)의 1990년 문서. "누가 누구를 통제하는가?"(Who is Controlling Whom?)라는 제목으로 몬테시노스가 후지모리를 장악했음을 시사한다.


1990년 7월 28일 후지모리가 대통령에 당선되자, 몬테시노스는 그의 최고 자문관이자 사실상 국가정보국(SIN)의 수장이 되었다. 그는 후지모리 정권의 막후 실세로 군림하며 국방부와 내무부 등 주요 부처 인사에 개입하여 군부를 장악했고, 후지모리조차 그의 통제 하에 있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몬테시노스 스스로 "[후지모리는] 완전히 유순하다. 그는 내가 모르는 일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고 말하기도 했다. 미국 DEA와 전직 페루 군 지휘관들 역시 1990년대 초반부터 몬테시노스가 SIN을 통해 페루를 실질적으로 통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몬테시노스는 25년 이상 미국 CIA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CIA로부터 테러 방지 활동 명목으로 연간 100만달러, 총 1000만달러 이상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해외 은행 계좌에는 최소 2.7억달러가 예치되어 있었다고 한다. 미국은 몬테시노스와의 관계를 통해 페루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으며, 몬테시노스는 CIA의 지시를 신속하게 이행했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몬테시노스와의 연줄 때문에 1990년 대선에서 후지모리를 지원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몬테시노스는 미국 기업들의 페루 내 사업을 직접 지원했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세계 4위 금광인 야나코차 광산의 채굴권을 미국 기업 뉴몬트에 넘기도록 페루 대법원에 압력을 행사한 것이다. 당시 페루 주재 미국 대사 데니스 제트 역시 이 과정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후지모리 정권 하에서 몬테시노스는 정치적 탄압과 인권 침해를 자행했다는 비판을 받으며,[58] 언론을 통제하고 마약 밀매 조직과 결탁했다는 의혹에도 휩싸였다.

그러나 2000년 9월, 몬테시노스가 야당 정치인에게 뇌물을 건네는 영상(블라디비디오)이 폭로되면서 그의 권력은 몰락하기 시작했다. 그는 파나마를 거쳐 베네수엘라로 도피했으나,[58] 2001년 6월 베네수엘라에서 체포되어 페루로 송환되었다.[58] 그는 페루 해군 기지 내 감옥에 수감되었고, 부패, 불법 무기 수출, 살인 등 다양한 혐의로 기소되어 장기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58] 스위스 당국은 그의 불법 축재 계좌 약 6000만달러를 동결했다.[58]

5. 1. 플랜 베르데

1990년 페루 대선 이후 작성된 ''플랜 베르데''의 최종 조정표 추가 문서 일부


변호사 시절, 몬테시노스는 알베르토 후지모리의 부인인 수사나 이구치를 변호한 경력이 있다. 부동산 거래 관련 논란이 있었던 이 사건에서 몬테시노스는 이구치를 도왔고, 이후 관련 서류가 사라지면서 기소는 취하되었다. 이 사건은 몬테시노스와 후지모리가 관계를 맺는 계기가 되었다.

페루의 저널리스트 구스타보 고리티는 몬테시노스가 파블로 에스코바르로부터 받은 100만달러를 1990년 페루 대통령 선거에서 당시 지명도가 낮았던 후지모리의 선거 자금으로 사용했다고 보도했다. 또한, 하버드 국제 리뷰는 몬테시노스가 후지모리의 세금 서류와 출생 증명서를 위조했다는 증거가 있다고 밝혔다.

선거 이전, 페루군은 페루 내전 기간 동안 '플랜 베르데'(Plan Verde|플란 베르데es)라는 비밀 군사 작전을 구상했다. 이 계획에는 빈곤층과 원주민에 대한 대량 학살, 언론 통제 및 검열, 군사 정부가 통제하는 신자유주의 경제 구축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군부는 당초 신자유주의 후보인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가 1990년 선거에서 승리할 것으로 예상하여 플랜 베르데에 따른 쿠데타 계획을 보류했다. 페르난도 로스피글리오시에 따르면, 몬테시노스는 처음에는 이 계획에 관여하지 않았으나, 그의 문제 해결 능력을 인지한 군부가 후지모리와 함께 계획을 실행하도록 임무를 부여했다. 반면, 알프레도 슐테-보크홀트는 니콜라스 데 바리 에르모사 장군과 몬테시노스 모두 군부와 후지모리 사이의 연결 고리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

페루 정치 분석가 움베르토 하라는 몬테시노스가 군부와 후지모리 사이에서 수행한 역할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몬테시노스는] 두 가지 약점을 결합할 수 있는 연결 고리였다. 즉, 반란과 인권 침해로 명성을 잃은 군대와 정치적 기반이 전혀 없는 무명의 고독한 인물(후지모리)이었다."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는 훗날 페루 주재 미국 대사였던 앤서니 C. E. 퀸턴이 자신에게 CIA가 후지모리의 대선 출마를 지지했다는 내용의 유출 문서가 사실이라고 직접 확인해주었다고 밝혔다. 렌돈은 미국이 몬테시노스와의 관계 때문에 후지모리를 지지했다고 분석했다.

후지모리의 선거 운동은 기존 페루 정치 체제에 대한 대중의 불신과 경쟁자 바르가스 요사가 제안한 신자유주의 경제 개혁에 대한 불안감을 효과적으로 이용했다. 후지모리가 선거에서 승리하자, 군부는 후지모리 취임 전날인 1990년 7월 27일에 실행될 쿠데타 시나리오를 포함한 계획을 최종 확정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후지모리와의 협상 및 합의. 협상의 기초: 지도 민주주의와 시장 경제의 개념"이라는 시나리오에는 후지모리가 취임 24시간 전에 군부의 계획을 수락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로스피글리오시는 당시 국가정보국(SIN) 국장이었던 에드윈 디아스 장군이 몬테시노스와 함께 후지모리가 군부의 요구를 따르도록 설득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 디아스와 몬테시노스는 후지모리가 투팍 아마루 혁명 운동의 표적이 될 수 있다고 설득하여, 그를 군 관계자 외에는 접근이 제한된 시르쿨로 밀리타르에 머물게 했다. 로스피글리오시는 후지모리 취임 전에 "후지모리, 몬테시노스, 그리고 일부 군 장교들 사이에 (플랜 베르데 실행에 대한) 이해가 형성되었다"고 분석했다. 결국 몬테시노스와 SIN 관계자들은 군부 대신 계획의 실행 주체가 되어 SIN 요원들을 군 지휘부 역할에 배치했다.

1990년 7월 28일 후지모리가 대통령에 취임한 후, 몬테시노스는 그의 최고 자문관이자 사실상의 SIN 국장이 되었다. 후지모리는 플랜 베르데에 명시된 정책들을 상당수 채택했다. 후지모리 취임 불과 며칠 후, 미국은 외교 전문을 통해 몬테시노스가 준군사적인 처형 조직을 만들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DEA는 1990년 당시 몬테시노스가 SIN을 통해 실질적으로 페루를 통치하고 있다고 판단한 문서를 남겼다. 전직 페루 장군과 지휘관들도 미국 측에 몬테시노스가 후지모리를 통제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몬테시노스는 후지모리를 통해 국방부와 내무부 등 주요 부처의 장으로 자신의 측근인 전직 포병 장교들을 임명하게 함으로써 페루 군부를 효과적으로 장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몬테시노스는 동료에게 "[후지모리는] 완전히 유순하다. 그는 내가 모르는 일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5. 2. 언론 통제

후지모리 시대 동안 몬테시노스는 페루 언론에 대한 광범위한 통제력을 확보했다. 그는 페루 내 모든 정보를 파악하고 통제하기 위해 텔레비전 채널 임원들에게 뇌물을 제공했다. 뇌물 액수는 채널 2(프레쿠엔시아 라티나)와 채널 5(파나메리카나 텔레비시온)에는 월 약 50만달러, 채널 4(아메리카 텔레비시온)에는 월 150만달러에 달했다. 몬테시노스는 페루 텔레비전 채널들에 매달 총 300만달러가 넘는 뇌물을 지불한 것으로 알려졌다.

몬테시노스는 정부 광고를 통해 텔레비전 채널에 추가 자금을 지원하며 통제를 강화했다. 1997년부터 1999년까지 페루 정부는 광고 예산을 52%나 늘려 페루 최대 광고주가 되었다. 이를 통해 몬테시노스는 페루의 주요 지상파 방송 네트워크인 프레쿠엔시아 라티나(채널 2), 아메리카 텔레비시온(América Televisión)(채널 4), 파나메리카나 텔레비시온(Panamericana Televisión)(채널 5), ATV(채널 9), 그리고 레드 글로벌(채널 13)에 대한 편집권을 사실상 장악했다. 명백히 국영 채널인 채널 7, 텔레비시온 나시오날 데 페루 역시 후지모리 정부의 통제 하에 있었다.

이러한 통제력을 유지하기 위해 몬테시노스는 치밀한 방법을 사용했다. 그는 뇌물을 월별 분할 지급하여 TV 채널 소유주들이 정부에 등을 돌릴 위험을 줄였다. 또한, 뇌물을 받는 사람들의 성적인 부도덕 행위를 몰래 촬영한 비디오 증거를 이용해 협박함으로써 지속적인 협조를 강요했다. 그는 수많은 뇌물 거래를 추적하고 소유주들의 공모에 대한 추가 증거(이 역시 협박용으로 사용 가능)를 확보하기 위해, 금전 거래 장면을 직접 촬영하고 채널 임원들에게는 뇌물의 대가로 어떤 종류의 영향력을 행사해야 하는지 명시된 계약서에 서명하도록 강요했다.

대부분의 방송 채널이 몬테시노스의 통제 하에 들어갔지만, 카날 N(Canal N)은 유일하게 독립성을 유지했다. 카날 N은 월간 서비스 요금으로만 운영되었는데, 대부분의 페루인들에게 이 요금은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었기 때문에 시청률이 수만 명에 불과했다. 몬테시노스는 낮은 시청률 때문에 카날 N에는 뇌물을 주지 않았다. 아이러니하게도, 카날 N은 훗날 몬테시노스의 광범위한 부패를 폭로한 결정적 증거인 '블라디비디오(Vladivideos)' 중 쿠리 비디오테이프를 처음으로 방영한 방송사가 되었다.

언론 통제의 대표적인 사례로 1997년 바룩 이브체르(Baruch Ivcher) 사건이 있다. 1997년 7월 14일, 당시 채널 2의 소유주였던 이스라엘 출신 사업가 바룩 이브체르가 정부에 비판적인 보도를 했다는 이유로 페루 국적을 박탈당했다. 같은 해 9월, 채널 2의 경영권은 정부에 더 우호적인 소수 주주들에게 넘어갔다. 이 사건에 대해 전 유엔 사무총장이자 페루 출신 외교관인 하비에르 페레스 데 쿠엘라르(Javier Pérez de Cuéllar)는 "페루는 더 이상 민주주의 국가가 아니다. 우리는 이제 권위주의 정권이 이끄는 국가이다."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5. 3. 정치적 탄압

1990년 12월, 미국 마약단속국(DEA)은 몬테시노스가 국내외에서 불법 감시 활동을 벌였다는 사실을 문서로 남겼다.

몬테시노스는 알베르토 후지모리 대통령의 정치적 반대 세력을 위협하거나 괴롭힌 혐의를 널리 받고 있다. 증거에 따르면 그는 국가정보국(SIN) 산하의 사살 부대인 '콜리나 그룹'(Grupo Colina)을 감독했는데, 이 조직은 바리오스 알토스 학살(1991년 11월 3일)과 라 칸투타 학살(1992년 6월 18일)의 배후로 여겨진다.[58] 바리오스 알토스 학살에서는 시민 15명이, 라 칸투타 학살에서는 학생과 교수 10명이 살해되었다. 이러한 행위는 빛나는 길(Sendero Luminoso)과 투팍 아마루 혁명운동(MRTA) 등 무장 세력을 진압한다는 명분 아래 자행되었으나, 민간인 학살로 이어졌다. 몬테시노스는 반대파에 대한 대규모 폭력을 피했는데, 그는 칠레의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대통령 시절 발생했던 "서투른" 행위를 피하고 싶어했다고 말했다. 대신 농민과 학생들을 표적으로 삼아 은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저명한 인물들은 피했다. 이 학살 사건들에 몬테시노스가 연루되었다는 사실은 이후 알베르토 후지모리 전 대통령의 재판 과정에서도 인정되었다.[58]

1992년 11월 알베르토 후지모리에 대한 쿠데타를 모의한 후 심문 과정에서 고문을 당한 네 명의 장교는 나중에 몬테시노스가 고문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진술했다.

1998년 3월 16일, 페루 육군 정보부 요원 출신 루이사 자나타(Luisa Zanatta)는 몬테시노스가 주요 정치인과 언론인에 대한 불법 도청을 지시했다고 폭로했다. 자나타는 또한 육군 정보부 요원들이 인권 침해와 라 칸투타 학살 희생자 시신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잡지에 제공했다는 이유로 동료 첩보원 마리엘라 바레토 리오파노(Mariella Barreto Riofano)를 살해했다고 말했다. 자나타는 1997년 초 바레토가 라 칸투타 학살을 저지른 콜리나 그룹 사살반의 일원이었다고 자신에게 말했다고 밝혔다. 바레토의 훼손된 시신은 1997년 3월 29일 길가에서 발견되었고, 사망 전 고문과 훼손의 흔적이 있었다.

5. 4. 마약 밀매 연루 의혹

DEA는 1990년 8월, 몬테시노스가 마약 밀매범들의 면책을 대가로 금품을 받았다는 보고를 인지하고 있었다.

몬테시노스와 페루 합동참모본부 의장인 니콜라스 에르모사 리오스 장군이 마약 밀매범들로부터 보호비를 받았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나중에 미국 정부가 기밀 해제한 문서에 따르면, 1996년까지 DEA는 이러한 의혹을 파악하고 있었다. 몬테시노스가 콜롬비아 마약 카르텔과 거래하고 있다는 증거에도 불구하고, CIA는 마약과의 전쟁을 명분으로 몬테시노스가 이끄는 정보기관에 10년 동안 매년 100만달러를 지원했다.

이 기간 중 가장 악명 높은 사건은 1996년 5월 11일에 발생했다. 러시아로 향할 예정이던(카나리아 제도보르도 경유) 페루 공군 소속 더글러스 DC-8 항공기에서 169kg에서 176kg 사이의 코카인(출처에 따라 양이 다름)이 압수된 것이다. 이 항공기는 과거 대통령 전용기로 사용되었기에, 언론에서는 종종 대통령 전용 보잉 737으로 잘못 보도하기도 했다. 해당 항공기에는 정비를 위한 군용 항공 장비가 실려 있었다. 마약의 출처와 목적지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고, 후지모리 정부와 몬테시노스 측의 수사 방해 의혹으로 인해 이 사건은 오늘날까지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2011년 조사에서는 1993년과 1994년 사이 공군기를 이용해 마이애미를 목적지로 하는 네 차례의 마약 운송이 더 있었음이 드러났다. 이 사건과 관련하여 몇몇 하급 장교들만 기소되었으나, 1997년 말 후지모리에 의해 무죄 판결을 받고 공개적으로 옹호받았다. 사면된 인물 중에는 당시 항공기 승무원이었던 후지모리의 측근도 포함되어 있었다.

"엘 바티카노"로 알려진 페루의 마약왕 데메트리오 차베스 페냐에레라는 몬테시노스가 자신의 마약 밀매를 보호했다고 증언했다. 1996년 8월 16일 공판에서 차베스는 페루군과 SIN의 실질적 책임자인 몬테시노스 자신에게 뇌물을 주고 후알라가 계곡의 정글 지역인 캄파닐라에서 자유롭게 활동했다고 진술했다(그는 이곳에서 불법 비행장을 운영했다). 공판에서 제시된 무선 통신 기록은 군인들이 뇌물을 받고 후알라가 지역에서 차베스 조직의 활동을 묵인했음을 시사했다. 이후 법정 출두에서 차베스는 고문을 당하고 약물을 투여받은 모습을 보였고, 그의 진술은 앞뒤가 맞지 않았다. 수감 후 차베스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몬테시노스가 자신에게 메델린 카르텔의 두목인 파블로 에스코바르와 "일을 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몬테시노스는 1991년과 1992년 동안 한 달에 5만달러를 받았다. 정부는 차베스 재판에서 마약 밀매범과 군 간의 무선 통신 기록을 증거로 제시했는데, 이 기록은 몬테시노스에게 뇌물을 제공한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차베스는 퇴역 장군 니콜라스 데 바리 에르모사(전 합동참모본부장)와 후지모리가 몬테시노스의 불법 행위를 전부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6. 몰락

2000년 페루 대통령 선거는 수년간 이어진 정치적 폭력 속에서 치러졌으며, 선거 과정과 결과는 큰 논란을 낳았다. 한 기자는 몬테시노스가 선거 관계자들에게 뇌물을 주고 결과를 조작했다는 내용의 비디오테이프를 가지고 있다고 폭로했다. 그는 이 폭로 이후 비밀경찰에게 납치되어 고문을 당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의혹이 불거지자 클린턴 행정부는 후지모리의 당선을 인정하지 않겠다고 잠시 위협했으나, 곧 입장을 바꿔 후지모리 정부에 몬테시노스 축출을 포함한 개혁 조치를 요구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했다. 당시 미국은 콜롬비아에서 FARC에 대한 군사 작전을 개시했기 때문에, 작전 기지 및 후방 지원 기지로서 페루의 정치적 안정이 중요했다.

몬테시노스는 자신의 사무실에서 정치인, 관리, 군 장교 등에게 뇌물을 주는 장면을 비밀리에 녹화하는 습관이 있었다. 그의 몰락은 대규모 불법 무기 밀수 사건이 발각되면서 가속화된 것으로 보인다. 게릴라 지도자 토마스 메디나 카라카스가 주선한 이 거래는 요르단을 경유하여 페루를 통해 콜롬비아 남부의 FARC 반군에게 AK 소총 1만 정 이상을 공수한 사건이었다. 몬테시노스는 자신이 이 밀수 사건을 적발했다고 주장했지만, 요르단 측은 정부 간 합법 거래였다며 페루의 주장을 반박했다. 오히려 몬테시노스가 이 작전을 주도했다는 증거들이 나타났고, 페루 고위 장성과 정부 계약업자 등이 연루된 사실이 드러났다. 일각에서는 이 무기 거래에 분노한 군 장교들이 몬테시노스의 사무실에 침입하여 비디오테이프를 훔쳐 언론에 공개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이 사건으로 몬테시노스는 FARC 소탕을 중시했던 미국의 지지를 잃게 되었다.

2000년 9월 14일, 페루 텔레비전 방송은 몬테시노스가 야당 의원 알베르토 쿠리에게 후지모리의 여당 페루 2000을 지지하도록 뇌물을 주는 영상, 이른바 '블라디-비디오(Vladi-video)'를 폭로했다. 이 영상은 후지모리 정권에 대한 남은 지지 기반마저 무너뜨리는 결정타가 되었다. 결국 후지모리는 몬테시노스의 사임을 수락하면서도 그의 공로를 치하하는 모순적인 태도를 보였다.[36] [37] [38] 이후 후지모리는 국가정보국(SIN) 해체와 조기 선거 실시를 발표하며 자신은 출마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몬테시노스는 파나마에 정치 망명을 신청했다.[39]

그 후 몇 달 동안 더 많은 '블라디-비디오'가 공개되었다. 한 영상에는 몬테시노스가 방송 채널 소유주에게 야당 인사의 방송 출연을 막는 대가로 매달 50만달러를 제안하는 장면이 담겨 있었다. 또 다른 영상에서는 다른 채널 소유주가 비슷한 협력의 대가로 매달 150만달러를 받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이 외에도 몬테시노스가 특정 채널 소유주에게 현금 35만달러를 건네거나, 탐사 보도 프로그램 폐지를 대가로 5만달러를 지급하는 영상 등이 연이어 폭로되며 페루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다.

6. 1. 해외 도피와 체포

2000년 9월, 몬테시노스가 야당 정치인에게 돈을 건네는 영상이 공개되면서 그의 몰락이 시작되었다. 이 영상은 후지모리 정권의 부패 실상을 드러내는 결정적인 증거가 되었다. 같은 달 24일, 몬테시노스는 페루를 떠나 해외로 도피했다. 닷새 뒤인 9월 29일, 페루 의회는 몬테시노스가 실질적으로 장악했던 페루 국가정보국의 해산을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결국 같은 해 11월 22일, 알베르토 후지모리 대통령 역시 의회에 의해 파면되었다.

몬테시노스의 도피 생활은 오래가지 못했다. 2001년 6월 24일, 그는 도피처였던 베네수엘라에서 체포되었다. 그의 체포 배경에는 당시 페루 대통령 당선자였던 알레한드로 톨레도와 베네수엘라의 우고 차베스 대통령 간의 모종의 거래가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체포 다음 날인 6월 25일, 몬테시노스는 페루 수도 리마로 송환되어 해군 기지 내 감옥에 수감되었다. 이후 2010년까지 석방 가능성 없이 구금 상태가 이어졌다. 그의 해외 불법 자금도 드러났는데, 스위스 검찰 당국은 몬테시노스가 숨겨둔 6000만달러에 달하는 불법 축재 계좌를 동결했다.

몬테시노스는 여러 범죄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2002년 2월 2일에는 부패 혐의로 징역 9년을 선고받았고, 2006년에는 콜롬비아 반군에게 불법으로 무기를 수출한 혐의가 인정되어 징역 20년이 추가되었다. 또한, 2007년부터는 페루 주재 일본 대사관 공관 점거 사건 당시 투항했던 투팍 아마루 혁명 운동(MRTA) 대원들을 살해한 사건과 관련하여 살인죄 혐의로 기소되어 재판을 받았다.[58]

7. 재판 및 수감

2000년 9월, 몬테시노스가 야당 정치인에게 뇌물을 건네는 영상이 공개되면서 그의 비리가 드러났다. 같은 달 24일 페루를 탈출하여 파나마를 거쳐 베네수엘라로 도피했다.[58] 이후 알베르토 후지모리 대통령은 사임하고 망명했으며, 페루 국가정보국(SIN)은 해체되었다.

2001년 6월 24일, 몬테시노스는 베네수엘라에서 체포되었다. 이는 차기 페루 대통령 알레한드로 토레도와 베네수엘라 대통령 우고 차베스 간의 협상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 날인 6월 25일, 그는 리마로 송환되어 칼라오에 위치한 최고 보안 구치소(Centro de Reclusión de Máxima Seguridad, CEREC)에 수감되었다. 이 교도소는 1990년대 몬테시노스의 지시로 건설된 곳이다.

몬테시노스는 횡령, 정보국장직 불법 취임, 권력 남용, 로비, 뇌물수수 등 다수의 혐의로 기소되었다. 총 63개의 범죄 혐의가 제기되었으며, 이는 마약 밀매에서부터 살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각 혐의에 대해 5년에서 15년의 형이 선고되었으나, 페루 형법상 형기는 동시에 복역하게 되어 있어 검찰은 계속해서 추가 혐의로 기소했다.


  • 2002년 2월: 부패 혐의로 징역 9년형을 선고받았다.
  • 2004년 8월: 미국 당국은 몬테시노스가 횡령하여 미국 은행에 예치했던 자금 2000만달러를 페루 정부에 반환했다. 페루 정부는 몬테시노스가 국가정보국 재직 시절 횡령한 총액이 10억달러를 넘을 것으로 추정했다. 스위스 검찰 또한 그의 불법 축재 계좌 약 6000만달러 상당을 동결했다.
  • 2004년 10월: 몬테시노스의 암살단으로 알려진 '콜리나 그룹(Grupo Colina)'의 조직원 윌머 야를레케 오르디놀라(Wilmer Yarleque Ordinola)가 미국 버지니아에서 체포되었다. 페루 정부의 송환 요청에 따라 2005년 페루로 송환되었다.[42][43]
  • 2006년 9월: 콜롬비아 반군 콜롬비아 무장혁명군(FARC)에게 1만 정의 돌격 소총을 불법적으로 판매한 혐의로 징역 20년형을 선고받았다.[44]
  • 2007년 ~ 2012년: 1997년 주페루 일본 대사관 인질 사건 당시 투항한 투팍 아마루 혁명운동(MRTA) 대원 14명을 사법 외 살해하도록 지시한 혐의로 재판을 받았으나, 2012년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 판결을 받았다.[45][46]
  • 2012년 8월: 1996년 공군 비행기 사건과 관련된 마약 밀매 혐의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았다.[47][48]
  • 2024년 1월 29일: 1992년 리마 주 파티빌카에서 발생한 농민 6명 학살 사건(살인, 강도살인, 강제실종)에 대한 자신의 유죄를 인정했으며, 19년 8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40][41]


몬테시노스는 현재 칼라오의 최고 보안 구치소에서 복역 중이며, 여러 건의 재판이 계속 진행 중이다.

7. 1. 블라디 오디오

2021년 페루 대통령 선거 이후, '블라디-오디오(Vladi-audios)'라고 불리는 녹음 파일들이 유출되었다. 이 파일들은 몬테시노스가 CEREC 최고 보안 교도소에 수감된 상태에서 유선 전화를 통해 최소 17차례 통화하며, 좌파 대통령 후보 페드로 카스티요의 취임을 막고 케이코 후지모리의 수감을 막으려 한 정황을 담고 있었다.[49][50][51]

한 녹음 파일에서 몬테시노스는 후지모리의 남편이 리마 주재 미국 대사관에 가서 지역 업무 담당 부서와 중앙정보국(CIA)에 이른바 "선거 부정 증거"를 제출하는 계획을 언급했다. 몬테시노스는 자신이 이미 대사관에 연락했으며, 해당 문서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게 전달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바이든 행정부가 쿠바, 니카라과, 베네수엘라의 개입을 명분으로 선거를 규탄하여 후지모리의 부정선거 주장에 힘을 실어줄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49][52][53]

다른 녹음 파일에서는 2021년 6월 10일, 몬테시노스가 퇴역 군인이자 인민세력 당원인 페드로 레하스 타타헤에게 국가선거위원회(JNE) 위원 3명에게 각각 100만달러씩 뇌물을 주자고 제안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JNE는 당시 논란이 많았던 박빙의 선거 결과를 검토하는 기관이었다. 몬테시노스는 레하스에게 변호사 기예르모 센돈과 접촉하라고 지시했으며, 센돈은 JNE 위원 루이스 아르세와 연락을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50][54] 공교롭게도 다음 날인 6월 11일, JNE는 이미 마감일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선거 무효화 관련 고소장 제출 기한을 연장하는 결정을 내렸다.[55]

녹음 파일이 유출된 후, 페드로 레하스 타타헤는 자신이 몬테시노스의 불법 활동을 의심하여 직접 녹음 파일을 수집했다고 밝히며 추가 녹취록을 공개했다.[56] 레하스는 이후 몬테시노스가 케이코 후지모리의 선거 운동에 직접적으로 개입하고 있다고 믿었다고 설명했다.[56]

페루의 우익 정치인들은 이 녹음 파일의 중요성을 축소하려 했다.[50] 탐사보도 매체 IDL-Reporteros에 따르면, 페루 해군은 몬테시노스가 단 두 차례만 통화했다고 발표하는 공동 성명을 냈는데, 이는 "거짓말"이라고 비판받았다. IDL은 "CEREC과 해군 기지에서 이루어진 17건의 통화와 12건의 대화를 어떻게 알아채지 못했는가? 특히 군대 내에서 전자 정보 개발이 가장 발전한 기관에서?"라고 의문을 제기했다.[51]

결국 국방부는 이 사건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고,[51] 2021년 8월 25일 페드로 카스티요 대통령은 몬테시노스를 남은 형기를 복역하도록 안콘 2교도소로 이감했다고 발표했다.[57] 또한, 몬테시노스가 수감되었던 해군 교도소의 장교 4명이 교체되었다.[50]

8. 평가

알베르토 후지모리 정권의 실세로 활동하며 페루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그의 활동은 심각한 인권 침해와 부패 문제로 얼룩져 있다.

군 장교 시절부터 미국의 스파이라는 혐의로 투옥된 전력이 있으며, 석방 후에는 마약 조직 변호를 맡으며 군부 및 사법부와 유착 관계를 형성했다. 알베르토 후지모리 대통령 집권 후에는 비선 실세이자 사실상의 페루 국가정보국(SIN) 수장으로서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다.

몬테시노스는 센데로 루미노소나 투팍 아마르 혁명 운동(MRTA) 같은 좌익 게릴라 소탕 과정에서 자행된 인권 침해 사건에 깊숙이 연루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1991년 바리오스 알토스 사건과 1992년 라 칸투타 사건 등 민간인 학살을 자행한 암살단 콜리나 부대(Grupo Colina)를 감독했다는 의혹이 있으며, 이는 훗날 후지모리 전 대통령의 재판 과정에서도 사실로 인정되었다.[58] 이러한 사건들은 대테러 작전이라는 명분 아래 무고한 시민들이 희생된 비극으로, 몬테시노스의 책임이 무겁게 지적된다.

또한, 2000년에는 야당 정치인을 돈으로 매수하는 영상이 폭로되면서 그의 부패 실태가 드러났고, 이는 후지모리 정권의 몰락을 가속화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몰락 이후 베네수엘라로 도피했으나 체포되어 페루로 송환되었으며, 스위스에서는 6000만달러에 달하는 불법 축재 자금이 동결되기도 했다.

결국 몬테시노스는 부패 혐의(징역 9년), 콜롬비아 반군에 대한 불법 무기 수출 혐의(징역 20년), 페루 주재 일본 대사관 공관 점거 사건 당시 투항한 MRTA 대원 살해 혐의 등 다양한 범죄로 기소되어 장기간의 징역형을 선고받고 수감되었다. 그의 존재는 페루에서 권력 남용, 인권 탄압, 부패가 어떻게 국가 시스템을 파괴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9. 대중문화

몬테시노스는 페루 영화 카이가 킨 카이가에 등장했다. 또한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의 소설 《신코 에스키나스》(The Neighborhood)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참조

[1] 뉴스 Peru ex-spy chief Montesinos guilty of disappearances https://www.bbc.com/[...] 2024-07-26
[2] 학술지 How to Subvert Democracy: Montesinos in Peru 2004-09-01
[null] 뉴스 Ideas & Trends: In His Words; Unmasking the Killers in Peru Won't Bring Democracy Back to Life https://www.nytimes.[...] 2023-03-24
[null] 웹사이트 Spymaster https://www.journeym[...]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3-03-29
[null] 뉴스 Fujimori in OAS talks PERU CRISIS UNCERTAINTY DEEPENS AFTER RETURN OF EX-SPY CHIEF 2000-10-26
[null] 웹사이트 THE CRISIS OF DEMOCRATIC GOVERNANCE IN THE ANDES https://www.wilsonce[...] 2023-03-25
[null] 뉴스 Questions And Answers: Mario Vargas Llosa https://www.newsweek[...] 2023-03-25
[null] 웹사이트 Who is Controlling Whom? https://nsarchive2.g[...] United States Army Intelligence and Threat Analysis Center 1990-10-23
[null] 웹사이트 Spymaster https://www.journeym[...]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3-03-29
[null] 서적 Drugs and Thugs: The History and Future of America's War on Drug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0-01-01
[null] 웹사이트 Caretas, Actualidad Candente, Investigación y Humor http://www.caretas.c[...] 2013-09-16
[null] 웹사이트 'Feliciano' pidió perdón al Perú por los crímenes de Sendero Luminoso http://peru21.pe/pol[...] 2013-03-28
[null] 웹사이트 Peru's New Government Fires 15 Generals http://www.cnn.com/2[...] CNN 2023-03-16
[null] 웹사이트 FY-76 IV Nomination https://nsarchive2.g[...] 1976-01-08
[null] 뉴스 CIA Paid Millions to Montesinos 2001-08-03
[null] 웹사이트 Detention of Vladimiro Montesinos https://nsarchive2.g[...] 1977-04-04
[null] 학술지 A wayward path: The failure of US policy in Peru 2002-01-01
[null] 서적 Señora K : ni víctima, ni heroína 50+1 2020-01-01
[null] 서적 Las Fuerzas Armadas y el 5 de abril: la percepción de la amenaza subversiva como una motivación golpista Instituto de Estudios Peruanos
[null] 학술지 The forced serilization of indigenous population in Mexico in the 1990s 2020-01-01
[null] 학술지 Unsettled accounts: militarization and memory in postwar Peru Taylor & Francis 1998-09-01
[null] 학술지 Despite Insurgency: Reducing Military Prerogatives in Colombia and Peru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01-01
[null] 서적 The politics of organized crime and the organized crime of politics: a study in criminal power Lexington Books
[null] 학술지 How to Subvert Democracy: Montesinos in Peru 2004-09-01
[null] 서적 La intervención de los Estados Unidos en el Perú Editorial Sur
[null] 웹사이트 La frugalidad de "Cambio 90" y el derroche de Fredemo http://www.proceso.c[...] 1990-04-14
[null] 학술지 El "Plan Verde" Historia de una traición https://www.scribd.c[...] 1993-07-12
[null] 웹사이트 Peru: Does Fujimori's Unofficial Advisor Control the Peruvian National Intelligence Community? https://nsarchive2.g[...] 1991-07-27
[null] 서적 The politics of organized crime and the organized crime of politics: a study in criminal power Lexington Books
[null] 서적 La intervención de los Estados Unidos en el Perú Editorial Sur
[null] 웹사이트 CIA Gave $10 Million to Peru's Ex-Spymaster Montesinos https://publicintegr[...] 2001-07-18
[null] 서적 Spin dictators : the changing face of tyranny in the 21st centu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01-01
[null] 학술지 How to Subvert Democracy: Montesinos in Peru
[null] 뉴스 FUJIMORI AS EMPEROR: NO LONGER JUST A JOKE https://www.washingt[...] 2024-02-12
[null] 웹사이트 Peru http://www.wsws.org/[...] 2000-09-01
[null] 뉴스 Lori http://www.freelori.[...] 2003-08-01
[null] 웹사이트 Desde Fujimori a Humala: los escбndalos del aviуn presidencial | RPP NOTICIAS http://www.rpp.com.p[...] Rpp.com.pe 2013-11-02
[null] 웹사이트 /DROGAS Y NARCOTRAFICO/ PERU: Edecán y ex avión presidencial involucrados en narcotráfico - IPS Agencia de Noticias http://www.ipsnotici[...] 1996-05-19
[null] 웹사이트 Secretos del narcoavión https://idl-reporter[...] 2011-06-05
[null] 웹사이트 Fujimori's Rasputin: The Downfall of the former Intelligence Chief, Montesinos http://www.gwu.edu/~[...] 2000-11-22
[36] 뉴스 Peru Accepts Spy Chief's Resignation https://www.washingt[...]
[37] 웹사이트 Peru Thanks Spy For Service https://www.orlandos[...]
[38] 웹사이트 Peru Ex-Spy Chief in Panama on Temporary Basis https://www.latimes.[...] 2000-09-26
[39] 논문 A Tale of Two Mesas: The OAS Defense of Democracy in Peru and Venezuela 2005
[40] 뉴스 Ex-Peruvian intelligence chief pleads guilty to charges in 1992 massacre of six farmers https://apnews.com/a[...] 2024-01-30
[41] 뉴스 Former Peruvian intelligence chief gets 19 years in prison for 1992 massacre of farmers https://apnews.com/a[...] 2024-01-31
[42] 뉴스 Man Found Guilty in Va. Sought by Peru in Killings https://www.washingt[...] 2004-10-01
[43] 뉴스 4th Circuit orders extradition of Peruvian special-ops agent http://findarticles.[...] 2007-02-26
[44] 뉴스 Peru: New Conviction For Ex-Spy Chief https://query.nytime[...] 2006-09-23
[45] 뉴스 Peru spy chief on trial for siege http://news.bbc.co.u[...] 2007-05-19
[46] 웹사이트 Vladimiro Montesinos fue absuelto de Caso Chavín de Huantar https://www.capital.[...] 2012-10-16
[47] 뉴스 Vladimiro Montesinos fue absuelto por hallazgo de cocaína en avión presidencial http://elcomercio.pe[...] 2012-08-28
[48] 웹사이트 Capturan a presunto "narco" vinculado a droga hallada en avión presidencial http://www.diariolib[...] 2007-09-19
[49] 웹사이트 Operaciones "irregulares" del 'Doc' desde la Base Naval https://www.idl-repo[...] 2021-07-01
[50] 웹사이트 Los fantasmas vuelven en Perú: Montesinos tramó el soborno de tres jueces electorales https://www.ambito.c[...]
[51] 웹사이트 Conspiraciones telefónicas https://www.idl-repo[...] 2021-06-26
[52] 웹사이트 Former Peru dictator's spymaster reappears in alleged plot to swing recount http://www.theguardi[...] 2021-07-01
[53] 웹사이트 Montesinos y operador fujimorista planearon contactar a Embajada de EE. UU. https://larepublica.[...] 2021-06-28
[54] 웹사이트 Todos los audios de Montesinos que demostrarían su intención de beneficiar a Keiko Fujimori https://larepublica.[...] 2021-06-26
[55] 웹사이트 Jurado electoral amplía el plazo para pedir la anulación de votos en Perú https://www.swissinf[...] 2021-06-11
[56] 웹사이트 Vladimiro Montesinos llamó a Pedro Rejas Tataje también por 3 celulares desde la Base Naval https://larepublica.[...] 2021-06-30
[57] 웹사이트 Peru: Vladimiro Montesinos transferred to Ancon II prison https://andina.pe/In[...]
[58] 웹사이트 フジモリ被告に有罪判決 ペルーの市民虐殺事件 - 47NEWS 共同通信 https://web.archive.[...]
[59] 웹인용 [후지모리 오른팔] 블라디미로 몬테시노스 https://news.naver.c[...] 2001-06-25
[60] 웹인용 페루, 다이아몬드 400개 박힌 시계 등 경매 https://news.naver.c[...] 2014-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